맨위로가기

김학만 (독립운동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김학만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이다. 1907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계동학교를 설립하여 교장으로 활동했으며, 명동학교 등 학교 설립을 후원했다. 이강년 의병부대에 재정을 지원하고, 한인거류민회 회장으로 활동하며 성명회를 조직하여 한일합방의 부당성을 알렸다. 권업회 총재를 역임하고 한흥동 건설을 추진했으며, 대한독립선언서에 서명하고 노인동맹단 단장으로 활동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그의 공훈을 기려 2012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2. 생애

김학만은 1907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계동학교를 설립하고 교장으로 활동하는 등 교육 활동에 힘썼다. 1908년에는 이강년 의병부대에 재정을 지원하고, 성명회를 조직하여 한일합방의 부당성을 알리는 등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1910년에는 한인거류민회 회장으로 선출되어 한인 사회를 이끌었으며, 권업회 총재, 한흥동 건설사업 추진, 대한독립선언서 서명, 노인동맹단 단장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해 독립운동에 헌신했다.[1]

2. 1. 교육 활동

1907년 5월 블라디보스토크 Shinhanchon|신한촌영어(新韓村)에서 계동학교를 설립하여 교장으로 활동하였고, 1908년 명동학교, 동흥학교, 선흥의숙 등 여러 학교의 설립과 운영을 적극적으로 후원하였다.[1]

2. 2. 독립운동 지원

1908년 1월경 함경북도에서 이강년 의병부대에 재정을 지원하였다.[1] 1910년 8월 경술국치 소식이 전해지자, 신한촌에서 이상설, 유인석, 이범윤 등 6명과 함께 성명회를 조직하여 취지서를 발표하면서 이른바 한일합방의 부당성을 각국에 호소하였다.[1]

이범윤의 독립군 부대 편성에 필요한 자금을 지원하고, 1911년 5월 항일운동단체인 권업회가 창립되자 그해 12월 총재로 선임되었다. 1911년부터 1918년까지 이승희와 함께 중국 밀산현 봉밀산 일대에 독립군기지 개척의 일환으로 한인정착촌인 한흥동 건설사업을 추진하였다.[1] 1919년 2월 중국 길림에서 발표된 대한독립선언서(이른바 戊午獨立宣言書)에 서명하였다. 1921년 노인동맹단 단장으로 활동하였다.[1]

2. 3. 한인 사회 지도자 활동

1910년 노령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한인거류민회 회장으로 당선되어 1914년까지 활동하였다. 같은 해 8월, 경술국치 소식이 전해지자 신한촌에서 이상설, 유인석, 이범윤 등 6명과 함께 성명회를 조직하여 취지서를 발표하면서 이른바 한일합방의 부당성을 각국에 호소하였다.[1]

3. 사후

대한민국 정부는 고인의 공훈을 기려 2012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하였다.

참조

[1] 간행물 皇城新聞 1907-05-29
[2] 간행물 皇城新聞 1908-04-02
[3] 간행물 海朝新聞 1908-03-12
[4] 간행물 海朝新聞 1908-03-24
[5] 간행물 海朝新聞 1908-04-05
[6] 간행물 海朝新聞 1908-04-07
[7] 간행물 海朝新聞 1908-04-22
[8] 간행물 海朝新聞 1908-04-03
[9] 간행물 勸業新聞 1912-09-08
[10] 간행물 勸業新聞 1912-12-19
[11] 간행물 獨立新聞 1920-03-30
[12] 문서 백원보가 안창호에게 보낸 편지 독립기념관 1911-12-19
[13] 문서 排日 朝鮮人의 動靜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 1 1910-11-16
[14] 문서 12월 16일 이후 블라디보스토크지방 조선인의 동정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2 1911-01-11
[15] 문서 開拓里에서 조선인의 제2회 演藝會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2 1911-02-05
[16] 문서 2월 24일 이후 블라디보스토크지방 在留 조선인 동정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2 1911-03-09
[17] 문서 蜂密山에 관한 정보 진달의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2 1911-03-22
[18] 문서 10월 25일 이후 浦潮斯德지방 조선인에 관한 정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3 1911-11-15
[19] 문서 조선인 근황 보고의 건(1911년 11월 이후 4개월간의 정보를 종합한 보고)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3 1912-02-09
[20] 문서 1912년 11월 調 在外 不良鮮人의 언동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4 1913-03-07
[21] 문서 浦潮地方 在住鮮人상황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4 1914-01-26
[22] 문서 林公使 암살음모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6 1917-05-04
[23] 문서 要注意鮮人表 進達의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6 1917-05-17
[24] 문서 조선인의 近狀에 관한 보고의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6 1917-06-20
[25] 문서 不逞鮮人의 행동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6 1917-10-06
[26] 문서 排日鮮人의 大同團結의 宣言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6 1917-11-10
[27] 문서 排日鮮人의 林公使 암살음모 기획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6 1918-03-02
[28] 문서 鮮人의 행동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7 1919-04-01
[29] 문서 鮮人의 독립운동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7 1919-04-09
[30] 문서 鮮人의 행동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8 1919-06-03
[31] 문서 普通報 제9호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滿洲의 部 13 1919-11-01
[32] 문서 鮮人의 행동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10 1920-08-26
[33] 문서 주된 不逞鮮人에 관한 조사보고 건(재만 민족운동가의 경력과 주소)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13 1921-12-10
[34] 문서 鮮人의 행동에 관한 건 不逞團關係雜件-朝鮮人의 部-在西比利亞 13 1921-12-20
[35] 서적 統監府文書 國史編纂委員會 1999
[36] 서적 韓國獨立運動史資料 國史編纂委員會 1978
[37] 서적 韓國獨立運動史資料 國史編纂委員會 1987
[38] 서적 韓國獨立運動史資料 國史編纂委員會 1997
[39] 서적 安重根資料集 국가보훈처 1995
[40] 서적 러시아 極東 및 北滿洲지역 排日鮮人 有力者名簿 國家報勳處 1997
[41] 서적 독립운동사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0
[42] 서적 독립운동사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1
[43] 서적 독립운동사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44] 뉴스 東?日報 1936-04-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